반짝반짝 작은 나의 별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과 혜택 신청방법 | 복지로 본문

내돈내산리뷰/정부지원정보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과 혜택 신청방법 | 복지로

에또몽 2025. 4. 3. 11:40
728x90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하고 경제적 자립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대표적인 복지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일하는 청년들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매칭하여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서비스 상세 | 보조금24 | 정부24

보조금24 맞춤안내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의 자격정보, 서비스 수급 정보의 실시간 확인을 위한 정보연계 동의가 필요합니다. 1.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회원의 주민등록번호로 행정기관

www.gov.kr


◾️ 지원 대상 및 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 연령 : 만 19세 ~ 만 34세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만 15세 ~ 만 39세

◾️ 소득 기준

  •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근로/사업 소득이 일반 청년 : 월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 근로/사업 소득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월 10만 원 이상
  차상위 이하 차상위 초과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연령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근로기준 월 10만원 이상 근로, 사업소득 발생 월 50만원 초과 월 250만원 이하 근로, 사업소득 발생
 

2025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표 50% 100% 120% 150% 180%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인상폭을 기록하며,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 2025년 변화, 그리고 가구원수별 소득 표

edsheeeran.tistory.com

◾️ 지원 내용

매월 본인이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10만원~30만원)을 매칭하여 제공합니다.

  • 일반 청년 : 월 10만 원 지원 → 3년 후 총 720만 원 + 이자 수령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월 30만 원 지원 → 3년 후 총 1,440만 원 + 이자 수령

만기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3년간 근로활동 지속
  • 교육 이수(10시간, 총 600분) : 자산형성포털 > 마이페이지 > 교육관리 > 필수교육 > 교육선택 > 수강 > 자활정보시스템 교육 이수
  • 만기 6개월 전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 자금사용계획서 서식

가입기간에 따른 교육 인정시간 표
가입기간에 따른 교육 인정 시간표

◾️ 신청 방법 및 절차

1. 신청 기간

  • 매년 정해진 기간 내 신청 가능 (예: 2025년은 5월 2일 ~ 5월 16일까지 2주간 접수)

2. 신청 장소

3. 절차

  • 신청 → 소득 조사 → 대상자 선정 → 통장 개설 및 저축 시작

4. 문의처

  • 자산형성지원 콜센터(☎ 1522-3690)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주의사항

  • 정해진 납입일정 내 본인적립금(월 10만원)을 입금하지 않으면, 당월 정부적립금은 적립되지 않습니다.
  • 누적 12회 이상 본인적립금을 미납하면 해지 사유가 발생하므로, 적금 납입이 어려운 경우 <적립중지> 제도를 이용하세요!

◾️ 장단점

✔ 장점

  • 높은 수익률 : 정부의 매칭 지원으로 실질적인 저축 효과 증가
  • 목돈 마련 가능 : 주거, 결혼, 창업 등 미래 계획에 유용
  • 재무관리 습관 형점

✔ 단점

  • 엄격한 자격 요건 : 소득 및 연령 제한
  • 의무 사항 준수 필요 : 근로활동 지속, 교육 이수 등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발생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 장기적인 저축 계획과 자격 요건 충족을 통해 이 제도를 최대한 활용한다면, 미래를 위한 든든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2025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기간 최대 100만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들에게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분기별 25만원씩, 연간 최대 100만원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아래는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 방법과 관련 정보

edsheeeran.tistory.com

 

과학기술인공제회 적립형공제 "복리식" 적금 무조건 들자!

과학기술인공제회 회원을 대상으로 고금리의 상품을 제공하는 적립형공제인 복리식 적금 상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 과학기술인공제회란?과학기술인에 대한 효율적인 공제제도를 확립

edsheeeran.tistory.com

728x90
반응형